본문 바로가기

권리분석3

[부동산 #16] 부동산 경매 주요 용어 v4.0 (토지별도등기/대지권미등기/토지근저당권인수/제시외건물/배당요구/채권계산서/기일입찰/매각기일/차순위매수신고/매각결정기일) [부동산 #15] 부동산 경매 주요 용어 v4.0 (토지별도등기/대지권미등기/토지근저당권인수/제시외건물/배당요구/채권계산서/기일입찰/매각기일/차순위매수신고/매각결정기일) 31. 토지별도등기 토지에 건물과 다른 등기가 있다는 것으로 집합건물은 토지와 건물이 일체가 되어 거래되도록 되어 있는 바, 토지에는 대지권이라는 표시만 있고 모든 권리관계는 전유부분의 등기기록에만 기재하게 되어 있는데, 건물을 짓기 전에 토지에 저당권 등 제한물권이 있는 경우 토지와 건물의 권리관계가 일차하지 않으므로 건물등기 기록에 “토지에 별도의 등기가 있다”는 표시를 하기 위한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32. 대지권미등기 원래 대지사용권이 없으면 낙찰 후 대지권을 취득할 수 없지만, 미등기 집합건물에 대하여 경매신청 있는 경우 대지.. 2021. 11. 30.
[부동산 #14] 부동산 경매 주요 용어 v2.0 (확정일자/말소기준권리/압류/가압류/가처분/가등기/변경/연기/취소/취하) [부동산 #14] 부동산 경매 주요 용어 v2.0 (확정일자/말소기준권리/압류/가압류/가처분/가등기/변경/연기/취소/취하) 11. 확정일자 법원의 등기소 또는 공증인 사무실, 구청이나 동사무소에 주택임대차 계약서에 현재 날짜를 증명하기 위하여 확정일자의 번호와 도장을 찍는 것을 말한다. 임차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 전입신고와 함께 확정일자를 받으면 된다. 12. 말소기준권리 최고가매수인은 낙찰대금을 완납하게 되면 등기여부와 관계없이 사실상 낙찰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는데,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면서 등기사항증명서 상의 권리 중 어떤 권리들은 말소촉탁등기 대상이 되어 소멸하게 되고, 또 어떤 권리들은 말소촉탁의 대상이 되지 않아 매수인이 인수해야 하는데, 이때 말소와 인수의 기준이 되는 권리를 말소기준.. 2021. 11. 23.
[부동산 #3]부동산 경매/공매 #3 - 경매의 핵심 권리분석 권리분석이란 법원경매를 통해 경매물건을 낙찰받기 전 낙찰자가 낙찰대금 이외에 추가로 인수해야되는 권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이다. 권리분석을 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권리를 찾아내어 그 이전 권리는 인수되고, 그 이후 권리는 말소된다. 이 때 인수되는 권리와 말소되는 권리를 구분해야 하며, 낙찰 후에도 소멸되지 않는 않는 권리는 낙찰자에게 인수된다. 인수되는 권리는 다음과 같다. 최고선순위의 담보물권보다 우선인 용익물권(지상권, 전세권, 지역권)과 환매권, 임차권, 가처분, 가등기, 가압류 등기 경매개시결정등기일보다 앞선 전세권, 지역권, 지상권, 임차권,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 가등기, 가처분등기, 환매등기 초이와킴 블로그 2021.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