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소기준권리4

[부동산 #14] 부동산 경매 주요 용어 v2.0 (확정일자/말소기준권리/압류/가압류/가처분/가등기/변경/연기/취소/취하) [부동산 #14] 부동산 경매 주요 용어 v2.0 (확정일자/말소기준권리/압류/가압류/가처분/가등기/변경/연기/취소/취하) 11. 확정일자 법원의 등기소 또는 공증인 사무실, 구청이나 동사무소에 주택임대차 계약서에 현재 날짜를 증명하기 위하여 확정일자의 번호와 도장을 찍는 것을 말한다. 임차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 전입신고와 함께 확정일자를 받으면 된다. 12. 말소기준권리 최고가매수인은 낙찰대금을 완납하게 되면 등기여부와 관계없이 사실상 낙찰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는데,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면서 등기사항증명서 상의 권리 중 어떤 권리들은 말소촉탁등기 대상이 되어 소멸하게 되고, 또 어떤 권리들은 말소촉탁의 대상이 되지 않아 매수인이 인수해야 하는데, 이때 말소와 인수의 기준이 되는 권리를 말소기준.. 2021. 11. 23.
[부동산 #12] 부동산 경매 공매의 말소기준 권리란 무엇인가? [부동산 #12] 부동산 경매 공매의 말소기준 권리란 무엇인가? 부동산 경매 공매 입찰시에 꼭 해야하는 것중 하나가 바로 권리분석인데요. 권리분석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바로 말소 기준 권리만 찾으면 됩니다. 말소기준권리는 크게 5가지 정도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1. (근)저당 2. (가)압류 3. 담보가등기 4. 경매개시결정 등기 5. 배당요구를 한 전세권 이 다섯가지 등기사항 이후의 권리들은 모두 소멸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 간단하죠? 2021. 11. 10.
[부동산 #3]부동산 경매/공매 #3 - 경매의 핵심 권리분석 권리분석이란 법원경매를 통해 경매물건을 낙찰받기 전 낙찰자가 낙찰대금 이외에 추가로 인수해야되는 권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이다. 권리분석을 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권리를 찾아내어 그 이전 권리는 인수되고, 그 이후 권리는 말소된다. 이 때 인수되는 권리와 말소되는 권리를 구분해야 하며, 낙찰 후에도 소멸되지 않는 않는 권리는 낙찰자에게 인수된다. 인수되는 권리는 다음과 같다. 최고선순위의 담보물권보다 우선인 용익물권(지상권, 전세권, 지역권)과 환매권, 임차권, 가처분, 가등기, 가압류 등기 경매개시결정등기일보다 앞선 전세권, 지역권, 지상권, 임차권,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 가등기, 가처분등기, 환매등기 초이와킴 블로그 2021. 4. 19.
[부동산 #2] 부동산 경매/공매 - 말소기준권리란? (경매사이트/온비드경매/네이버경매/네이버부동산/아파트경매/옥션경매) 부동산 경매/공매 - 말소기준권리 말소기준권리는 부동산 경매/공매에서 부동산이 낙찰될 경우에 그 부동산에 존재하던 권리가 소멸하는지? 아니면 그대로 남아 낙찰자에게 인수되는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 권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동산에 이후에 세입자가 들어온 경우, 그 부동산이 경매 또는 공매에 부쳐진다면 세입자의 전입일이 근저당권 설정일보다 뒤가 되기 때문에 부동산의 낙찰자는 세입자를 쫓아낸다. 이 경우 세입자의 권리는 소멸되는 것이고, 그것을 판단하는 말소기준권리는 근저당권이 된다. 낙찰로 말소 즉 소멸되는 권리와, 말소되지 않고 낙찰자에게 인수되는 권리가 어떻게 결정되는가가 권리분석의 가장 핵심이 된다. 어떤 부동산이 경매처분 되었을 때 그 부동산에 존재하는 권리들이 낙찰자.. 2021. 4. 19.